✅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 📖용어노트
# | 진도 | 기본 숙제(필수) | 추가 숙제(선택) |
---|---|---|---|
1주차 (7/1 ~ 7/7) | Chapter 01 | OSI 모델 및 TCP/IP 모델 차이점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계층 구조를 작성해 보기(p. 62 참조) | Ch.01(01-1) 확인 문제 2번(p.35), (01-3) 확인 문제 2번(p.73) 풀고 설명하기 |
2주차 (7/8 ~ 7/14) | Chapter 02 | Ch.02(02-1) 확인 문제 2번(p.87), (02-3)확인 문제 4번(p.111) 풀고 설명하기 | 집에 있는 케이블에 표기된 명칭 표기를 바탕으로 케이블 구조 및 전송속도 가늠해 보기 |
3주차 (7/15 ~ 7/21) | Chapter 03 | Ch.03(03-1) 확인 문제 1번(p.147), (03-3) 확인 문제 2번(p.187) 풀고 설명하기 | 본인 컴퓨터의 IP 주소와 MAC 주소 파악해 보기 |
4주차 (7/22 ~ 7/28) | Chapter 04 | Ch.04(04-1) 확인 문제 1번(p.206), (04-2) 확인 문제 2번(p.225) 풀고 설명하기 | 작업 관리자에서 프로세스별 PID 확인해 보기 |
여름방학 (7/29 ~ 8/4) | 🍀럭키비키 즐거운 여름방학이잔앙🍀 | ||
5주차 (8/5 ~ 8/11) | Chapter 05 | Ch.05(05-1) 확인 문제 1번(p.271), (05-2) 확인 문제 2번(p.307), 풀고 설명하기 | HTTP 요청 메시지 확인해 보기 |
6주차 (8/12 ~ 8/18) | Chapter 06~07 | Ch.06(06-2) 확인 문제 1번(p.379), (07-2) 확인 문제 2번(p.407) 풀고 설명하기 | 와이어샤크에서 실제 TCP/UDP 패킷 확인해 보기 |
네트워크 참조 모델의 장점
- 네트워크 구성과 설계를 용이하게 함. (모든 프로토콜이나 네트워크 장비가 참조 모델과 완벽히 들어맞는 것은 아니지만 훌륭한 가이드라인 역할을 수행함.)
( ex) PC방에서 게임을 하는데 인터넷이 끊김. 전체 인터넷이 끊겼을 경우 1계층 혹은 3계층의 문제일 확률 높음. 한 자리만 끊겼을 경우 2계층 혹은 7계층의 문제일 확률 높음) - 네트워크 문제 진단과 해결을 용이하게 함. (네트워크를 계층별로 진단하면 문제 진단과 해결이 수월함)
OSI 7 Layer(이론적)
- Physical layer : 비트(0과 1)신호를 주고받는 계층.(전기, 빛, 전파 등의 신호를 통신매체(유무선)를 통해 주고받음)
- Datalink layer : MAC 주소를 이용해 내 주변의 주소에 맞는 호스트에게 정보 전달.(허브, L2 스위치)
- Network layer : IP 주소를 이용해 다른 네트워크에 속한 수신지까지 전달. 인터넷을 가능하게 하는 계층.(라우터, L3 스위치)
- Transport layer : 신뢰성, 안정성 있는 전송을 위한 계층. 패킷이 정상적으로 보내졌는지, 중간에 유실된 정보는 없는지, 여러 개의 패킷을 보낼 때 순서가 뒤바뀐 것은 없는지 등을 점검하고 안정적인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함.(TCP/UDP) /
포트라는 정보를 통해 실행중인 프로그램의 식별(L4 스위치) - Session layer : 통신을 주고받는 호스트의 응용 프로그램 간 연결 상태를 생성하거나 유지하고 종료되었을 때 끊어 주는 역할.
- Presentation layer :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코드로 변환하거나 압축, 암호화 같은 작업이 이루어 짐.
- Application layer : 사용자와 실질적으로 맞닿아 있는 계층. ex) 웹사이트 화면, 어플 화면 등
TCP/IP(실질적)
- Network access layer : OSI 모델의 1, 2계층에 대응
- Network layer : OSI 모델의 3계층에 대응
- Transport layer : OSI 모델의 4계층에 대응
- Application layer : OSI 모델의 5, 6, 7 계층에 대응
OSI MODEL과 TCP/IP MODEL의 차이점
애초에 목적 자체가 다르기때문에 완벽하게 들어맞는 것이 아닌 유사하다고 보면 됨.
또한, 모든 네트워크 프로토콜과 장비들이 이 모델 계층에 예외 없이 부합하리라 속단하면 안됨.
위의 모델들은 말 그대로 참조 모델이고, 중요한 것은 실질적으로 작동시키는 프로토콜 혹은 네트워크 장비같은 것들임.
접기 시작
p.35 확인문제 2번
네트워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골라 보세요.
-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고정에 도움을
주지 않습니다.도움을 줍니다. -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는 프로그램을 유지 보수하는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많은 프로그램이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비와 상호 작용하며 실행됩니다.
- 채용 시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을 강조하거나 검증하는 기업이 존재합니다.
p.73 확인문제 2번
네트워크 참조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골라 보세요.
- OSI 모델은 7개의 계층으로 통신 과정을 구분합니다.
- TCP/IP 모델은
3개의계층으로 통신 과정을 구분합니다. 4개의 - 네트워크 참조 모델은 네트워크 구성과 설계를 용이하게 합니다.
- 네트워크 참조 모델은 네트워크 문제 진단과 해결을 용이하게 합니다.
'정리 >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혼공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공네] 6주차 챕터 6, 7 정리 (0) | 2024.08.15 |
---|---|
[혼공네] 5주차 응용 계층 정리 (0) | 2024.08.04 |
[혼공네] 4주차 전송 계층 정리(TCP/UDP) (0) | 2024.08.03 |
[혼공네] 3주차 네트워크 계층 정리(ip) (0) | 2024.07.21 |
[혼공네] 2주차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정리 (0) | 2024.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