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 📖용어노트
6주차 (8/12 ~ 8/18) | Chapter 06~07 | Ch.06(06-2) 확인 문제 1번(p.379), (07-2) 확인 문제 2번(p.407) 풀고 설명하기 | 와이어샤크에서 실제 TCP/UDP 패킷 확인해 보기 |
가용성(Availability) : 시스템이 특정 기능을 실제로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의 비율. 즉, 안정성을 수치화한 값.
실질적으로 작동이 가능한 시간을 업타임, 오류 혹은 정비 등으로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시간을 다운타임이라고 명명했을 때, 가용성 = 업타임 / 업타임 + 다운타임으로 표현함.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 HA) : 높은 가용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
결함 감내(Fault Tolerance) : 다운타임이 발생하는 원인을 모두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은 불가함.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기능을 계속 지속할 수 있는 능력이 결함 감내이며, 고가용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사항임.
이중화(다중화) : 서버, 라우터, DB 서버 등을 2개 이상 놓음으로써, 가용성을 높이기 위한 대표적인 방안.
단일 장애점(Single Point Of Failure / SPOF) : 해당 기능을 하는 장비가 문제가 생길 경우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주는 것. 이중화의 최우선 목표가 됨. ex) 웹서버와 연결된 DB 서버가 다운이 됐다 -> 서비스 제공 불가 -> 만약 백업을 하고 있는 DB 서버가 2개 이상 있었고 DB 서버 하나가 다운됐을 시 바로 백업 중이던 다른 DB 서버로 연결할 수 있다면 지속적인 서비스 가능.
페일오버(Failover) : 작동중이던 시스템에 문제가 생겼을 때, 예비된 다른 시스템으로 자동 전환되는 기능.
로드 밸런싱 : L4 혹은 L7 스위치를 이용해 서버로 들어오는 트래픽을 다중화된 여러 서버로 분배해 주는 기능.
문제
p.379 확인문제 1번
요청 측의 Sequence Number가 3588415412이므로 다음 응답 측인 호스트 B의 Acknowledgement Number는 3588415413 임.

p.407 확인문제 2번
3 ServerHello

와이어샤크에서 실제 TCP/UDP 패킷 확인해 보기

'정리 >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혼공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공네] 혼공학습단 회고 (0) | 2024.08.15 |
---|---|
[혼공네] 5주차 응용 계층 정리 (0) | 2024.08.04 |
[혼공네] 4주차 전송 계층 정리(TCP/UDP) (0) | 2024.08.03 |
[혼공네] 3주차 네트워크 계층 정리(ip) (0) | 2024.07.21 |
[혼공네] 2주차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정리 (0) | 2024.07.14 |